K
O
C
C
A
본문으로 바로가기 메인메뉴 바로가기

콘텐츠 가치평가 센터

다양한 콘텐츠 기획·제작·국내외유통 전 과정에 대한
가치를 평가하는 시스템입니다.

콘텐츠가치평가제도안내

콘텐츠가치평가 제도

대상

영화, 게임, 애니메이션, 방송, 뮤지컬, 웹툰, 콘서트, 음악, 이러닝 장르의 제작 중인 콘텐츠 프로젝트

목적

기업 재무현황 중심의 평가가 이루어지는 현재 금융환경에서 콘텐츠 산업의 특성이 반영된 평가를 통해 금융권으로 부터 투융자를 유치 할 수 있도록 콘텐츠 중심의 평가를 제공

목적

콘텐츠가치평가 모형개발 및 고도화

콘텐츠가치평가 결과의 신뢰성 향상 및 투융자 거래 활성화를 위해 평가모형 고도화

  • 콘텐츠산업 트렌드를 반영하여 2~3년 주기로 평가모형 수정•보완
  • 콘텐츠가치평가 결과 신뢰도를 높여 합리적인 투융자 시장 조성

콘텐츠 정보 제공

민간 금융기관에서의 콘텐츠 투융자 의사결정을 위한 정보 제공

  • 민간 금융권에서는 콘텐츠산업에 대한 높은 관심 대비 투융자 결정을 위한 정보수집 시스템 부재
  • 콘텐츠산업 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투융자 의사 결정의 근거가 되는 기초자료 제공

민간 콘텐츠평가시장 활성화

민간 콘텐츠평가시장 활성화 기반 조성을 위해 콘텐츠가치평가 신모형 개발 및 콘텐츠산업 정보시스템 구축, 콘텐츠산업 진흥•콘텐츠가치평가 제도 활성화 방안 연구, 연계 금융상품 개발

해외 평가 사례

해외 평가 사례
도입 발전 현황
미국미국 1990년부터 무형자산에 대한 가치평가 도입 기술선점을 위한 연구개발에 대한 집중투자와 산출 전 연구 성과로 이전하는 과정에서 자본시장과 연결되어 가치평가이론 및 기법개발
  • 정부차원의 전문평가기관과 대형전문평가회사, 회계사무소 등 민간주도형 평가기관 양립
  • 콘텐츠 및 기술정보에 대한 높은 접근성과 가치평가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가 축적되어 민간가치 평가기관에 의해 활용되고 있음
영국영국 창조산업의 발달에 따른 경제적 가치평가 방법론 개발 시도 Stated preference techniques, Reveal preference techniques, Benefit and value transfer을 통해 측정시도
  • 문화산업에서 주로 사용하는 가치평가 방법론은 매우 다양하지만 표준화된 방법은 아직 존재하지 않음
  • 창조산업 금융지원 프로그램(Creative industry Finance Pilot Programme) 시범운영을 통해 가치평가에 대한 가능성과 방법론 검토
일본일본 ‘제작위원회’방식을 통한콘텐츠 비즈니스 시스템 내 가치평가 방법론 주목 2009년 저작권법 개정에 따라 새로운 부가가치 창출을 위한 콘텐츠가치평가 방법의 정확성이 촉구되고 있음
  • 객관적인 콘텐츠가치평가 방법은 확립되어 있지 않으나 다양한 방법적 접근시도
  • 회계학적 접근과 지식재산권적 접근을 포괄하는 모형연구진행(2010년부터 콘텐츠가치평가 업무담당 전문 국가제도 시행)
  • 경제산업성은 2014년, 콘텐츠 제작 투융자 활성화를 위한 콘텐츠가치평가 도입 방안 마련의 필요성 제시